1. 원고 작성 규정
『미술과 교육』에서는 국내학자와 해외학자의 글이 함께 게재되기 때문에 한글 외에 영어의 원고가 함께 실린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언어의 원고 작성에서 오는 혼돈을 피하기 위해 한글과 영어 원고 모두에 가장 최근의 APA(Publication Manu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1) 양식을 적용하고 있다. 다음은 APA 양식에 근거한 것들로서 미술과 교육 학회지 원고 작성 시 준수해야 할 사항들이다.
- 1. 한글워드 2005 이상의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작성한다.
- 2.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의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로 표기하거나 ( )속에 원어를 쓴다.
- 3. 가로 80열 줄 간격 180, 포인트 10으로 작성한 원고 14쪽 이내(참고문헌 제외)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이보다 많을 수 있으나 최대 30쪽을 초과할 수 없다.
- 4. 논문의 내용요약을 논문제목 부분에 제시한다.
- 5. 띄어쓰기
제목, 중제목, 소제목 하에 처음 시작하는 문장은 띄지 않는다. 그러나 이후 문단의 첫 문장은 5칸 띠고 6칸에서 시작한다. 참고 문헌과 들여 쓰기도 5칸 띠고 6칸에서 시작한다.
- 6. 논문의 각 중․소․하위제목들에 번호를 붙이지 않는다. 중제목은 11포인트로 굵게 쓰기로 한 다음 한 문단 띄어쓰기 한다. 소제목은 10포인트 굵게 쓰기로 표시하나 문단은 띄어쓰기 하지 않는다. 소제목 내의 하위제목은 10포인트 굵게 쓰기로 표시하면서 5칸 들여 쓰고 여섯 칸에서 굵게 쓰기로 제목을 쓴 다음 문장을 띠지 않 고 내용을 서술한다.
2. 문장 부호 사용
- 1. 마침표
완성된 문장에 찍는다.
- 2. 쉼표의 사용
그리고 전에, 또는 세 개 이상의 항목이 이어질 때 사용한다.
- 높이, 넓이, 또는 깊이
- 3. 세미콜론 사용
이미 마침표가 포함된 요소들을 분리할 때
- Adams & Baker, 1982; Jones, 1980
- 4. 콜론 사용
- (1) 앞선 자료를 설명하고, 확대하기 위한 마지막 구 또는 절의 앞에 사용한다. 이때 콜론은 앞 문장에 붙이고 다음 단어의 앞에서 한 칸 띄운다. 이러한 변화는 예를 들어, 시브룩(Seabrook, 2001)이 노브라우(nowbrow: 독특하거나 특별한 양식이 없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미술)라고 칭하는 단어를 만들어 냈다.
- (2) 비율을 나타날 때 사용한다. 이때에는 전 단어 앞에 붙이지 않으며 다음 단어 앞에서 한 칸 띄우지 않는다.
- 소금과 물의 비율은 각각 1 : 8, 1 : 4였다.
- (3) 출판의 장소와 출판사를 언급할 때이며, 이때 콜론은 앞 문장에 붙이고 다음 단어의 앞에서 한 칸 띤다.
-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서울: 시공사
- 5. 이음표(대시)
- (1) 큰이음표: 한 문장 내에서 생각의 정지를 나타낼 때에는 큰 이음표를 사용하며 앞 문장과 이어지는 문장 사이에 간격을 띄지 않고 넣는다.
- - 이 두 실험 대상은―첫 번째 그룹에서 유래한 하나, 다음 그룹에서 유래한 하나―분리되어 실험되었다.
- - 이것은―공동체 교수법에 핵심적인―살아온 공동체에 대한 경험 또는 상황을 만든다.
- (2) 작은이음표: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여 또 다른 단어를 만들 때 사용한다.
- 6. 생략 부호
마침표 다음에 가운데에 점을 세 개 찍어서 표기한다.
- 7. 인용부호
- (1) 속어, 또는 새롭게 고안된 표현의 단어, 강조, 또는 모순된 논평으로서 사용된 단어나 절을 소개할 때 반드시 겹 따옴표를 사용한다. 흔히 그릇된 이해가 있게 마련인데 "똑같이 생긴" 사람들이기 때문에 同種의 개념이 존재하고 그래서 다문화주의는 "다른 사람들"의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 분야를 "시각문화"라 부른다. 시각문화는 21세기 미술교육에서 대단히 깊은 의미를 지닌다.
- (2) 간행물, 또는 저서에서의 장(chapter)나 논문의 제목을 서술할 때 김철수(1993)의 논문, "사회에 대한 어린이들의 개념"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회 현상을 분석하였다.
- (3) 테스트 항목 또는 축어적인 지침에서 유래한 자료를 재생하고자 할 때 찰스 무어 교수는 "회화, 조각, 건축에서의 디자인 원칙들"이라는 제목의 교과를 가르쳤다.
- (4) 겹 따옴표 내에서의 강조나 모순된 논평, 속어 등을 나타낼 때에는 홀 따옴표를 사용한다.
아이스너(Eisner, 1994b)는 이렇게 비판한다. "심리학과 교육학 문헌들에서 좁게 가정된 인지가 결국 아동들이 학교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을 '제한하는' 교육적 실제의 형태들을 정당화하였다"(p. 21).
3. 인용
다른 저자의 글이나 이전에 출판된 자신의 글에서 인용할 때 두 가지 방법의 인용이 있다. 짧은 인용(40단어 이하)은 들여쓰기하지 않고 겹따옴표를 사용하는 직접 인용의 방법을 사용한다. 겹 따옴표가 끝났을 때에는 ( )안에 쪽수를 기입한 다음 마침표를 찍는다. (인용 예 1, 2 참조) 인용이 40단어 이상일 때에는 5칸 들여쓰기를 하면서 겹따옴표를 생략한다. 이때에는 문장이 끝나면서 마침표를 찍고 ( )안에 쪽을 기입한다. (인용 예 3 참조) 직접 인용은 정확해야 한다. 직접 인용에서는 단어, 철자법, 기호 등이, 비록 그것의 절차법이나 기호나 부호와 문법이 틀린 것이라 하더라고 원본을 그대로 따라야 한다. 그러나 만약 틀린 철자법이나 기호, 부호 사용, 문법 등을 직접 인용하는 것이 독자를 혼동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을 경우 [ ]를 사용하여 수정한다. ([ ] 사용의 인용 예 4 참조)
- 인용 예 1)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만약 학생들이 자신들의 작품에 대해 근거가 확실한 논거를 얻고자 한다면 교사들은 그들에게 완벽하고 정확한 개념을 제시해야 한다"(Macdonald, 1970, p. 346)."(마침표 위치 주목바람)
- 인용 예 2)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도날드(Macdonald, 1970)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만약 학생들이 자신들의 작품에 대해 근거가 확실한 논거를 얻고자 한자면 교사들은 그들에게 완벽하고 정확한 개념을 제시해야 한다"(p. 346)."(마침표 위치 주목바람)
- 인용 예 3)
다비스와 가드너(Davis & Gardner, 1992)는 예술의 개념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변한 것은 행위자체에 대한 강조에서 행동하는 과정에 대한 강조, 무엇에서 언제, 감정 전달로서의 예술에서 상징들의 사용을 통한 감정의 구체화로서의 예술이다. 예술가는 "눈"뿐만 아니라 정신적 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 주면서, 또한 이 정신적 형식의 구성요소들을 선, 구성, 또는 표현 등의 요소들로 파악하면서 하나의 인지과정으로서의 예술에 대한 인지발달 심리학자들의 이해를 뒷받침해 주었다.(pp. 105-106)"(마침표 위치 주목 바람)
- [ ] 사용의 인용 예 4)
기존의 "행동과학주의는 실증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인간의 정신을 인지적인 영역과 정서적인 [영역]으로 이분하였고, 이 두 영역을 상반된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Parsons, 1992, p. 71).
4. 본문 내의 인용문헌
- 1. 본문 내에서 간접 인용은 다음의 양식을 따른다.
- - 김철수(2004)는 그것을 소비자 중심주의가 가져온 하나의 폐단으로 생각하였다.
- 2. 인용이 2인 이상인 경우 한국어 문헌인용에는 가나다 순서로 영어 명에서는 알파벹 순서로 서술한다.
- - 최근의 연구(김철수, 2004; 박영희, 2002; 홍길동, 2003)에서는 다원론을 전형적인 포스트모던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 - 최근의 연구(Bruner, 2002; Davis, 2001; Efland, 2003; Smith, 2000)에서는 다원론을 전형적인 포스트모던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 3. 저자가 다수일 경우 2인까지는 모두 표기하되, 3인 인상은 첫 자만 표기한다.
- - 김철수 외(2003) 또는 김철수 등(2003)
- - 에플랜드 외(Efland et al., 1996) 또는 에플랜드 등(Efland et al., 1996)
5. 주의 표기
각주를 사용하며 후주의 사용을 금한다. 주의 사용은 본문의 내용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어 본문에 그 내용을 서술할 경우 내용의 일관성이 결여된다고 판단되는 보충적인 참고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사용한다.
6. 번호 사용
본문의 내용에서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번호를 사용할 경우 1단계는 1, 2, 3 이며 2단계는 1), 2), 3)이고 3단계는 1), 2), 3)이며 4단계는 (1), (2), (3)이며, 마지막으로 5단계는 ①, ②, ③으로 표기한다.
7. 참고문헌의 작성
참고문헌은 논문의 말미에 한, 중, 일, 서양 순으로 열거한다.
- 1. 국문 저술 표기
- (1) 국문 책명
저자 이름 다음 한 칸을 띤 다음 저술의 연도를 적은 다음 마침표를 찍고 『』안에 책명을 적고 마침표를 찍은 다음 출판사의 소재를 적은 다음 콜론 부호를 찍은 후 한 칸 띄운 다음 출판사를 표기한 후 마침표를 찍는다.
- 박휘락 (1998). 『미술교육의 역사』. 서울: 도서출판 예경.
- (2) 정기 간행물
『』안에 정기 간행물 이름을 기입한 후 인용 논문의 쪽수를 표기한 다음 마침표를 찍는다.
- 박정애 (2001). 한국 미술 교육과정의 특징과 포스트모던 교육과정의 수용에 관한 고찰. 『미술과 교육』 제 2권, 93-110.
- (3) 학위 논문
- 김영수 (2002). 미술 감상이 인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2. 서양 저술 문헌 표기
- (1) 저술 표기
서양 이름은 last name을 쓴 다음 middle name과 first name은 대문자로 이니시열을 표기한 다음 ( )안에 연도를 적은 다음 마침표를 찍고, 이탤릭체로 영어 책명을 표기한 후 다시 마침표를 찍는다. 책명의 경우, 첫 자와 고유 명사만 대문자를 사용하며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를 사용한다. 출판사인 경우 첫 단어는 모두 대문자를 사용한다. 출판사 표기 다음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 Arnheim, R. (1954). Art and percep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 정기 간행물 표기
책명이 학술지 등 정기 간행물인 경우에는 단어의 첫 자는 모두 대문자로 사용하여 이태릭체로 표기한 다음 쉼표를 찍는다. 그 다음 책의 권(Vol.)을 이태릭체로 표기한다. 그러나 호(No.)는 이태릭체로 표기하지 않고 쉼표 다음 쪽수를 적는다. 또한 출판사의 이름도 모든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 Feldman, E. B. (1973). The teacher as model critic.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7(1), 50-57.
- (3) 편저 저술과 발행본 표기
편자를 나타내는 영어 단어 editor의 약어 Ed.를 괄호를 사용하여 연도 ( ) 이전에 기입한다. APA 양식에서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편자는 대문자 Ed.로서 발행본은 소문자 ed. 로서 표기된다.
- Bloom, B. S. (Ed.).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gnitive domains. New York: McCay.
- Eng, H. (1954). The psychology of children's drawings (2nd e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Original work published 1931)
- (4) 편저에서의 다른 저자의 인용표기
인용저자의 이름을 먼저 서술한 다음 편자의 이름은 first name의 이니시얼을 먼저 표기한 다음 last name을 표기하고 그 다음 이텔릭체 표기의 편저 이름을 쓰고 나서 쪽수들을 뜻하는 pp. 를 괄호안에 기입한 다음 마침표를 찍고 출판사 위치와 출판사 명을 표기한다.
- Bruner, J. (1985). Vygotsky: A historical and conceptual perspective. In J. Wertsch(Ed.), Cultur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Vygotskian perspectives (pp. 21-3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표와 그림
- 1. 표와 그림에는 〈 〉를 사용하여 일련 번호를 붙인다. 이러한 사항의 특징은〈표 1〉과 〈표 2〉에서 살필 수 있다. 김홍도의 〈서당도〉에는 서민들의 생활이 익살과 해학이 넘치는 사회로 묘사되었다.
- 2. 표의 번호와 제목, 그림의 번호와 제목은 모두 상단 중앙에 표기한다.
9. 논문 초록
논문 초록은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 논문에서는 국문 초록을 앞에, 영문초록을 뒤에 표기한다. 영문 논문은 원칙적으로 번역문을 함께 게재하기 때문에 영문 초록의 한글 번역이 국문 초록에 해당된다. 단 번역문이 게재되지 않을 경우에는 영문 초록을 앞에 국문 초록을 논문 뒤에 표기한다. APA 양식에서 초록의 글자수를 지극히 제한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영문 초록과 국문 초록은 모두 150자에서 200자 내외로 전체 논문의 내용을 지극히 축약하여 작성해야 한다.
10. 주제어
주제어는 국문 논문인 경우 한글을 사용한 다음 ( )안에 영어로 표기한다.